집의 대화 : Homely Talk 

조병수 X 최욱


Type  

전시 


Location  

DDP D-숲   


전시 기획  

CAC, 임나리, 임진영


공간 디자인 

논픽션홈


사진촬영  

텍스처 온 텍스처 


자료제공 

BCHO파트너스, 

원오원아키텍스∙팩토리∙플러스

Collaboration  

서울문화재단 

 

Year  

2021


협력 기획  

 정성규


그래픽 디자인 

김유나 (영상 그래픽 도움 김보경)


영상 촬영 편집

더도슨트


음악 

권월



코로나 시대 집에 대한 가치와 공간의 의미를 환기하고자 기획한 전시입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두 건축가 조병수와 최욱이 작가로 참여했습니다. 이들이 직접 설계하고 거주하는 자택과 사무실을 비롯해 자연과 만나는 소통의 공간인 다양한 집을 소개합니다. ‘집’, ‘집 속의 집’, ‘일하는 집’, ‘제안하는 집’이라는 주제 아래 총 4개의 영상으로 구성한 전시입니다. 개인의 일상을 담는 그릇인 집을 매개체로 삼아 통해 물리적인 구조물만이 아닌 삶의 형식을 담는 집의 의미를 나누고자 했습니다.


기획의 글
집은 가장 개인적인 공간이다. 우리는 집으로 들어가면서 신발과 겉옷을 벗고 외부의 기운을 털어낸다. 거주자의 사물로 채워진 집에는 한 사람의 최종 선택이 드러난다. 사물이 모인 집을 통해 거주자의 경험, 분위기, 취향, 라이프스타일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동시에 집은 바닥, 벽, 창문이 있는 물리적 형식이자 우리가 향하고자 하는 어떤 원형에 대한 상징이다. 머릿속에서 만들어지는 생각의 집. 눈으로 보기보다 손으로 감각하는 집. 지어지고 허물어지고 다시 지어지는 집. 집들이 모여 동네가 되고 사회가 되는 집. 집은 수렴되고 발산되는 다양한 의미가 쌓인 기호다. 
건축과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해온 DDP는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건축의 지평을 넓혀온 건축가 조병수와 최욱의 집을 살펴본다. 건축의 구조와 재료에 대한 탐색, 한국적 지형과 공간에 대한 해석, 건축이 만들어내는 경험과 분위기를 공간에 담아온 두 건축가, 조병수와 최욱은 1990년대 독립해 작은 지부터 대기업 프로젝트까지 선보이며 한국 건축계에서 주목할 만한 행보를 보여왔다. 
어긋나기도, 겹치기도 하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따라 비슷하면서 다른 두 건축가의 집, 그리고 그에 대한 태도를 탐색한다. 두 건축가가 설계하고 거주하는 공간을 매개로 사물, 라이프스타일, 건축, 도시로 확장하는 우리 삶에 밀착한 건축의 가치를 돌아보고자 한다. <집 속의 집>, <집: 고쳐 쓴 집, 지금 집, 두 번째 집>, <일하는 집>, <제안하는 집: 감각의 집, 옆집, 섬집>을 주제로 익숙한 것을 탁월하게 재발견하고 자연과의 경험을 확장하는 두 건축가의 태도를 살펴본다. 일상이 무너진 위기가 찾아온 지금 두 건축가의 대화를 통해 공간을 비롯한 우리의 현실 세계를 좀 더 섬세하게 들여다본다. 

(A) 집
가장 사적인 공간, 바로 집이다. 일상이 작동하는 집을 통해 우리는 두 건축가의 내밀한 생각과 취향, 라이프스타일을 엿볼 수 있다. 고쳐서 사용한 과거의 집, 지금 살고 있는 집, 실험과 생각을 다은 두 번째 집. 두 건축가의 가기 다른 세 채의 집을 차례로 살펴본다. 두 건축가의 삶의 형식이 그대로 녹아 있는 사적 공간 집을 통해 건축이 우리 일상과 분리된, 멀고 거대한 존재가 아니라 매일 우리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는 공간이라는 걸 보여준다. 

(B) 집 속의 집 
건추가 조병수, 최욱이 설계한 집의 근원에 대한 이야기. 유학을 통해 체득한 서양 건축의 체계는 건축의 기본을 세우는 동시에 한국 건축의 정체성에 대해 질문하는 계기가 된다. 대학 시절 프로젝트와 동양의 사고 체계에 대한 두 건축가의 고민이 감성과 이성을 넘나드는 드로잉과 수집한 책, 사물 등으로 소개된다. 막사발과 백자에서 읽어낸 미와 한국 건축에 대한 오랜 탐색은 두 건축가가 보여주는 지금의 작업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집 속의 집’에서는 형태나 시각적 표현을 벗어나 그 안에 경험과 감각을 담아내고자 하는 두 건축가의 질문이 어디에서 출발하는지 근원을 탐색한다. 

(C) 일하는 집 
조병수, 최욱 두 건축가에게 사무실은 단순한 업무 시설이 아니다. 물성과 구조를 실험하고 삶을 담는 형식을 연구하며 다양한 팀원들과 협업하는 공간이다. 서울 한가운데 자리하면서도 자연 풍경이 펼쳐지는 두 건축가의 일하는 집은 이들이 탐구하는 미학과 생각을 확장하는 장소이다. 이와 더불어 출판, 전시, 심포지엄 등 문화를 발산하는 플랫폼 역할을 두 건축가의 작업 공간과 소개한다. 

(D) 일하는 집
건축가 조병수와 최욱이 설계한 건축물 중 풍부한 공간 경험을 일반 대중에게 제안하는 집을 소개한다. 시각적인 것을 충족시키는 것을 너머 듣고 읽는 장소로서의 ‘감각의 집’(카메라타, 현대카드 디자인라이브러리), 지역의 정체성을 확장하는 문화공간 ‘옆집’(F1963, 현대모터스튜디오 부산), 자연과의 상생을 탐색하는 ‘섬집’(지평집, 가파도프로젝트)을 살펴본다. 이렇나 집들은 우리 삶의 지평을 풍요롭게 넓히면서 순수한 감수성을 일깨운다. 



서울시 서대문구 모래내로17길 59-6 | 사업자등록번호 : 396-09-01733

대표자 : 임나리 | 01@wordandview.com

Copyright ⓒ 2025 워드앤뷰 All rights reserved.